**제사상 진설법**

제사상 차리는 진설법은 지방과 가문에 따라 다르며 옛 학자들의 주장도 한결 같지 않다.

제수의 각지방의 관습이나 푸옥 그리고 가문의 전통에 따라 조금식 다르다.

그래서 가가례(家家禮)라고도 하며 "남의 제사에 감놓아라 배 놓아라 하고 참견하지 말라"는
 
풍자적인 말까지 나온 것이다

다음에 예시한 진설법은 대종회 권장 진설법으로 기본적인 제수를 중심으로 한 것입니다



*진설법*

제주가 제상을 바라보아 오른쪽은 동(東), 왼쪽을 서(西)라 한다. 신위를 모신 쪽이 항상

북쪽이므로 왼쪽은 서쪽, 오른쪽은 동쪽이 된다. 진설의 순서는 맨 앞줄에 과일, 

둘째 줄에 포와 나물, 셋째 줄에 탕(湯), 넷째줄에 적(炙)과 전(煎), 다섯째 줄에 메와 갱을 차례

로 놓는다

1. 좌포우혜 : 포는 왼편에 식해는 오른편에 놓는다

2.  어동육서  : 어물은 동쪽에 놓고 육류는 서쪽에 놓는다

3.  생동숙서  : 김치는 동쪽에 나물은 서쪽에 놓는다

4.  두서미동  : 생선의 머리는 서쪽을 향하게 하고, 꼬리는 동쪽을 향하게 놓는다

5.  조율시이  : 왼쪽부터 대추, 밤, 감, 배(깍아서 올림)의 순서로 진설한다

6.  건좌습우  : 마른 것은 왼쪽에, 젖은 것은 오른쪽에 놓는다

7.  접동잔서  : 접시는 동쪽에 , 잔은 서쪽에 놓는다

8.  좌반우갱  : 왼쪽에는 메(밥)를 , 오른쪽에는 갱(국)을 놓는다

9.  남좌여우  : 신위를 놓을 때 제상의 왼쪽은 남자 , 오른쪽은 여자이다

*참고

조(대추)는 씨가 하나이므로 임금을 뜻하고, 율(밤)은 세톨이므로 삼정승 , 시(감 또는 곶감)는
 
씨가 여섯개이므로 육방관속을 그리고 이(배 또는 사과)는 여덟개로 팔도관찰사를 뜻한다.